기술정보

섬유기술에 관한 혁신적인 연구개발로 섬유산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겠습니다.

home 기술정보섬유산업현황

섬유산업현황

중국 신발시장(2013년~2015)동향

등록일
2017.04.10
작성자
관리자
조회수
786
첨부파일

1. 시장현황

 

□ 시장규모

 

 ○ 2013년 중국 신발 산업 가치는 전년대비 22.8% 증가한 5600억 위안을 기록함.

  - 중국의 신발 산업은 현재 세계 최대생산국과 최대 수출량을 보유하고 있음.

  - 중국에서 연간 24억 쌍에 달하는 구두를 만들고 있는데, 이는 세계 구두 총 생산량의 40%를 차지함.

 

중국 신발류 시장규모 및 성장률

             (단위: 억 위안, %)

구분

2011

2012

2013

산업규모

증가율

산업규모

증가율

산업규모

증가율

산업규모 및 성장률

3,800

-

4,560

20%

5,600

22.8%

 

 자료원: 慧

 

○ 신발류 온라인 시장규모가 2009년부터 급속히 성장하면서 2012년 신발류 온라인 시장규모가 687억 위안에 달함.

  - 2016년에는 신발류 온라인 시장규모가 1850억 위안에 달할 전망임.

 

자료원: iResearch

 

□ 시장전망

 

 ○ 중국은 거대한 신발 생산력과 커다란 소비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몇 년 중국 신발시장에서의 매출은 여전히 양호한 성장률을 시현할 전망임.

  - 2013~2015년 중국 국내 신발류 매출규모는 11%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임.

  - 주력인 여성 신발류시장이 12% 이상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이며 명품 신발류 매출 성장률이 16% 이상 초과할 전망임.

 

 ○ 한편, 중국 현지 신발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하고 소비구조가 변화하면서 향후 3년은 중국 여성 신발 산업에 우승열패할 관건 시기라 할 수 있음.

  - 2012년 하반기부터 중국의 여성신발 산업은 이윤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함.

  - 중국 중저가 신발로 인기가 높았던 다푸니()그룹은 2013년 4분기부터 직영점을 대대적으로 줄이면서 당해 4분기 직영점 222개, 가맹점 23개를 줄임.

 

□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

 

 ○ 베이징, 상하이, 광저우 등 1선도시와 동부연해 발달도시 소비군의 신발류 구매력이 가장 높음.

  - 최근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내수시장 확대에 힘입어 신발류 소비군은 도시로부터 농촌지역으로 확장됨.

 

 ○ 저가 제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함.

  - 수입산 구두는 원자재, 가공 면에서 로컬 브랜드보다 우수하지만 가격이 높아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으며 여전히 로컬브랜드가 신발류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.

  - 중국에서 중저가 신발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중국에서 중저가 구두 시장 점유율이 85%에 달함.

 

 ○ 신발류는 구두, 고무신, 운동화, 케미컬슈즈로 크게 분류하며 이들 세분화 시장에서 스타일, 재질,  소비구조가 변화하고 있음.

  - 구두 매출 비중이 초기 9%에서 현재 35%로 증가함.

 

□ 수입동향

 

 ○ 2013년 중국의 신발류 HS Code 6403기준 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15% 증가한 12억 708만 달러에 달함

  - 주요 수입국은 이탈리아, 베트남, 인도네시아, 스페인이며 이탈리아로부터 수입은 전체 수입의 40%를 차지함.

  - 한국으로부터 수입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수입비중이 2011년 0.4%에서 2013년 4%로 상승, 수입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임.

  - HS Code 6403 신발류(바깥 바닥을 고무ㆍ플라스틱ㆍ가죽 또는 콤퍼지션 레더로 만들고, 갑피를 가죽으로 만든 것에 한함.)

 

 ○ 2013년 중국의 신발류 HS Code 6405 기준 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20.6% 증가한 1292만 달러에 달함.

  - 중국산 역수입이 1위이나 전체 수입시장에서 비중이 2011년 56.4%에서 2013년 32.2%로 하락하였으며 수입규모가 지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음.

  - 주요 수입국은 이탈리아, 베트남, 홍콩, 한국, 미국이며 이탈리아로부터 수입이 전체 수입의 20% 이상을 차지하며 수입규모 및 비중이 감소세임.

  - 한국은 5대 수입국이며 최근 3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변동이 큼. 2013년에는 전년대비 211.8% 증가함.

  - HS Code 6405는 기타 신발류임.

 

□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

 

중국 신발류 주요 수입국 현황 (HS Code 6403 기준)

(단위: US$ 천, %)

순위

국가

금액

 점유율

증감률

2011

2012

2013

2011

2012

2013

13/12

 

총계

896,041

1,049,990

1,207,081

 

 

 

15.0

1

이탈리아

313,541

414,208

480,127

35.0

39.4

39.8

15.9

2

베트남

136,521

170,679

209,606

15.2

16.3

17.4

22.8

3

중국산 역수입

168,971

154,110

140,757

18.9

14.7

11.7

-8.7

4

인도네시아

67,305

94,357

103,955

7.5

9.0

8.6

10.2

5

스페인

38,962

42,461

50,212

4.3

4.0

4.2

18.3

6

홍콩

2,097

2,025

32,665

0.2

2.0

2.7

1,512.9

7

포르투갈

16,026

26,874

26,806

1.8

2.6

2.2

-0.2

8

태국

31,091

15,502

23,392

3.5

1.5

1.9

50.9

9

슬로바키아

25,745

30,619

23,170

2.9

2.9

1.9

-24.3

10

인도

15,981

22,667

21,318

1.8

2.2

1.8

-5.9

17

한국

3,505

3,085

5,385

0.4

3.0

4.0

74.6

 

자료원: 한국무역협회

 

중국신발류 주요 수입국 현황(HS Code 6405 기준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단위: US$, %)

순위

국가

금액

 점유율

증감률

2011

2012

2013

2011

2012

2013

13/12

 

총계

13,344,758

10,713,934

12,918,804

 

 

 

20.6

1

중국산 역수입

7,520,957

5,033,624

4,154,965

56.4

32.2

32.2

-17.5

2

이탈리아

3,252,711

2,912,773

2,673,541

24.4

27.2

20.7

-8.2

3

베트남

239,750

397,050

2,061,213

1.8

3.7

16.0

419.1

4

홍콩

29,519

70,633

825,469

0.2

0.7

6.4

1,068.7

5

한국

464,765

169,772

529,378

3.5

1.6

4.1

211.8

6

미국

24,515

70,797

372,162

0.2

0.7

2.9

425.7

7

스페인

166,999

186,737

296,244

1.3

17.4

2.3

58.6

8

터키

18,407

32,497

285,498

0.1

0.3

2.2

778.5

9

슬로베니아

-

0

272,985

-

-

2.1

-

10

태국

15,475

1,392

154,351

0.1

-

1.2

10,988.4

 

자료원: 한국무역협회

 

2.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

 

□ 수입 규제 제도

 

 ○ 야생동물 가죽을 사용한 신발제품은 멸종위기야생동식물수입허가서를 취득해야 통관이 가능함.

  - 야생동물 원산지 증명, 수출국가에서 수출허가 또는 재수출증명서 원본, 수출계약서, 해당성시 ‘야생동물 및 관련 제품 경영허가서’ 복사본 등 서류를 해당도시임업국에 제출해 검토 후 해당성 야생동물보호부에서 수출입 허가서를 발급함.

 

 ○ 신발류에는 아래와 같은 강제성 국가표준이 시행되고 있음.

 

표준명

시행시간

비고

GB 28011-2011

‘鞋類鋼勾心’

2012년 8월 1일

- 신발 개발, 생산, 경영하는 업체는 반드시 강제성표준을 따라야 하며 표준에 부합되지 않으면 생산, 판매 및 수입을 금지함.

-강구심을 사용한 구두제품은 반드시 신발 포장에 GB 28011-2011 표준을 표기해야 함.

GB 25038-2010

‘膠鞋健康安全技術規範’

2010년 7월 1일

인조가죽, 방직원자재를 사용한 고무신은 인체건강과 안전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양을 강제적으로 규정하거나 금지함.

GB 25036-2010‘布面童膠鞋’

2010년 7월 1일

14세 이하(신발사이즈 245 이하)의 아동이 착용하는 헝겊고무신에 대한 강제성 표준임.

GB 25038-2010 ‘膠鞋健康安全技術規範’ 규정이외 아동 또는 영유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제품 사용에 대한 규제

 

자료원: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

 

□ 관세율

 

HS Code

한국으로부터 수입관세율

증치세

6403

10~24%

17%

6405

15~24%

 

자료원: 중국 세관 수출입 세칙 2014

 

□ 주요 유통채널

 

 ○ 신발류 제품의 유통은 생산업체, 대리상, 소매상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백화점, 브랜드 매장, 전문점, 온라인 쇼핑몰임.

  - 이외 많은 브랜드들은 대리상 유통채널과 자체 직영점을 동시에 운영하는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음.

 

 ○ 최근 몇 년 온라인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신발제품의 주요한 유통채널로 부상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하고 있음.

  - 신발 업체나 대리상이 유력 온라인구매 사이트에 온라인쇼핑몰을 오픈해 대부분 브랜드 제품이 온·오프라인을 모두 이용하고 있음.

  - 신발제품은 온라인 유통채널은 종합 온라인사이트, 전문 신발 온라인 사이트 크게 두 가지가 있음.

  - 온라인 구매대행을 통해 수입산 신발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음.

 

3. 경쟁동향

 

□ 경쟁제품

 

 ○ 중국 신발시장이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현재까지 뚜렷하게 우위를 보이는 브랜드가 없음.

  - 중국 상위 10대 여성신발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21%에 달하며 여성 신발시장에서 매출 1위인 바이리(BeLLE)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46%임.

 

 ○ 소비자가 유행, 개성을 따지고 브랜드 의식이 높아지면서 로컬 브랜드 경쟁력이 더욱 떨어지고 있음.

  - Gucci, LV, 샤넬, 에르메스, Juicy Couture, 발리, 토즈 등의 명품 브랜드 신발을 해외 관광 시 구매하거나 구매대행을 통해 구매하며 나인웨스트 등 중국 로컬보다 가격대가 조금 높은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가는 추세임.

 

제조업체명

브랜드명

가격(소비자가격)

시장점유율(%) *

원산지(수출국)

百麗國際控股有限公司

BeLLE

500~1,500위안

46

중국

達芙國際控股有限公司

DAPHNE

200~700위안

33

중국

百麗國際控股有限公司

TATA

500~1,500위안

-

중국

東莞美麗華鞋業有限公司

Cbanner

500~1,500위안

-

중국

 

주: 봄, 여름 시즌 여성 신발 가격

자료원: 中

 

□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

 

 ○ 한국 신발은 중저가 브랜드들이 산만하게 진출되어 있어 아직 브랜드화 되어 있지 않음.

 

4.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

 

□ 전문 전시회 정보

 

전시회명(현지어명)

2014第十四屆廣州國際鞋展

전시회명(한국어)

제14기 중국 국제 광저우 신발 박람회

전시품목

패션화, 운동화, 아동화 등

개최국가/도시/개최주기

중국/광저우/6개월

규모(참가업체수)

632개

개최기간(2014년)

2014년 8월 26~28일

웹사이트

http://wwwslfchinafaircom

 

 

□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

 

 ○ 신발류는 의류와 달리 한국 스타일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지 않고 현지 바이어들은 품질, 가격,

 디자인을 우선 고려함.

 

□ 마케팅 방안 및 타겟고객층

 

 ○ 현재 중국에서 많은 로컬 브랜드들이 있지만 제품 양식이 비슷한 점에 대비해 참신하고 유행하는 모델 제품을 개발해 브랜드화할 필요성 있음.

  - 현재 중국 신발시장을 보면 계절마다 브랜드별로 새로 출시하는 제품의 디자인이 거의 비슷한 추세인데 이는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음.

  - 제품이 거의 유사하므로 신제품 출시 후 1개월 후부터는 할인을 하면서 주로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 확보

 

 ○ 현지화 전략 필요

  - 현지 쇼핑몰, 백화점 입점 시 현지 생산 기반 또는 매장을 보유해야 함.

  - 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지만 외국에서 직수입한 제품은 가격대가 높아 다수의 일반 소비자 계층이 선호하지 않음.

  - 현지 생산 또는 OEM을 통해 현지 브랜드보다 비싸고 명품 브랜드에 비해 가격이 대비되는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.